소백산 국립공원 자세히보기

지역 둘레길 및 축제/국토종주 자전거길

국토종주 인증 방법 및 위치

hiking_song 2025. 4. 13. 16:48
728x90
반응형

종주인증제 안내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국토종주 자전거 시대를 열며, 자전거길 여행에서의 소중한 추억을 간직할 수 있도록 2012년 4월 22일부터 '국토종주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국토종주인증제'란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달린 뿌듯함과 추억을 간직할 수 있도록 여권처럼 생긴 인증수첩에 주요 지점의 스탬프를 모두 찍으면, 자전거길 종주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콜센터 문의전화 : 1577-4359

종주 인증 분류

종주 인증 절차

자전거길 종주 인증물품

인증서 및 인증메달(국토종주, 4대강 종주, 그랜드슬램시 제공)

※ 국토종주, 4대강종주, 그랜드슬램 인증서는 무료로 제공되며, 메달과 케이스는 우리 강 이용도우미에서 유상 판매

인증스티커(PASSPORT 인증확인 페이지에 부착)

국토종주, 4대강 종주를 마치신 이용자에게 수여되는 인증스티커는 종주인증이 가능한 인증센터에서 직접 받으시거나 모든 인증센터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 인증센터(빨간색 부스) 내 종주인증함에 인증수첩과 연락처, 주소를 작성하여 넣어주시면 확인하여 인증등록 후 인증수첩, 스티커 등을 발송해 드립니다. 배송기간은 인증완료 후 1~2주가량 소요됩니다.

헬멧부착용 스티커

※ 종주인증 후 지급하는 스티커는 현재 수첩부착용, 헬멧부착용 두 종류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인증센터 안내

종주인증센터 15개소, 무인인증센터 70개소, 수첩판매소 13개소

 

https://www.bike.go.kr/map/roadMap.do?roadSn=1&roadType=1&xp=37.570595&yp=126.699981&key=2008148358544&zm=12

 

https://www.bike.go.kr/map/roadMap.do?key=2008148358544&roadSn=1&roadType=1&xp=37.570595&yp=126.699981&zm=12

 

www.bike.go.kr

구간 장소명 인증센서 / 수첩판매처 위치
아라뱃길 아라서해갑문   
인천광역시 서구 정서진1로 41 (오류동) 경인항 통합운영센터 1층 안내데스크
아라한강갑문   
서울시 강서구 개화동 아라한강갑문인증센터
한강 여의도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서로 160(여의도동)
뚝섬 전망콤플렉스   
서울시 광신구 능동로 10(뚝섬유원지역 2번 출구)
광나루 자전거공원   
서울특별시 강동구 선사로 광나루인증센터 (천호동 483-1 제2요금소)
능내역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526번길 25-59
양평군립미술관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문화복지로 2
이포보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금사로 38
여주보   
경기도 여주시 능사면 영릉로 560
강천보   
경기도 여주시 신단1길 83
비내섬   
충북 충주시 앙성면 남한강변길 158-1
충주댐   
충북 충주시 충주호수로 590 충주댐가든
북한강 밝은광장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366-20 (바이크카페)
샛터삼거리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북한강로 1738
경강교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보납로 70번길 47-1
신매대교   
강원도 춘천시 서면 신매강변길 57-1
새재 충주탄금대   
충청북도 충주시 남한강로 (칠금동 산1-29)
수안보온천   
충청북도 충주시 주정산로 (수안보면 온천리 297-3)
이화령휴게소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이화령로 561 (주진리 산3-3)
문경불정역   
경상북도 문경시 불정강변길 187 (불정동)
상주상풍교   
경상북도 상주시 어풍로 (사벌면 매호리 254)
오천 행촌교차로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 (연풍면사무소 인근)
괴강교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괴강로 (괴강삼거리 건너편, 글램핑 스테이션 뒤편)
백로공원   
충북 증편군 증평읍 북부두름길 (증평군 증평읍 창동리 1)
무심천교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정상동 (문양생태공원 인근, 청주시 방향)
합강공원   
세종시 연기면 태산로 329
낙동강 안동댐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2 (상아동)
상주보   
낙동강10경 상주보 우안,좌안 사이 (경북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낙단보   
경북 의성군 단밀면 도안로 (단밀면 생송리 산172-1)
구미보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동대로 (해평면 월곡리 770-1)
칠곡보   
경북 칠곡군 강변대로 (석적읍 중지리)
강정고령보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강정본길 57
달성보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비슬로 1193
합천창령보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죽전등림길 154
창녕합안보   
경상남도 함안군 칠복면 봉촌2길 427
양산물문화관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낙동로 443
낙동강하굿둑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1233번길 1
금강 대청댐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청로 618-136 (미호동)
세종보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나리로 82
공주보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평목길 90
백제보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북포로 451
익산 성당포구   
전북 익산시 성당면 성당로 (익산성당포구 인증센터)
금강하굿둑   

(철새조망대)
전북 군산시 성산면 철새로 120
금강하굿둑   

(조류생태전시관)
충남 서천군 마서면 정산로 916
영산강 담양댐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금성산성길 293
메타세콰이어길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메타세쿼이아로
담양대나무숲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산길 (용전동)
승촌보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보길 90
죽산보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무숙로 (죽산리)
느러지 관람전망대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동강로 307-226 번지
영산강하굿둑   
전라남도 목포시 남악로 58번길 (황포돛배 매표소)
섬진강 섬진강댐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회문3길 2
장군목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강경길 76-165
향가유원지   
전라북도 순창군 풍산면 향가로 (향가터널 근처)
횡탄정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뇌연길
사성암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동해벚꽃로 174
남도대교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남도대교로 43
매화마을   
전남 광양시 다압면 섬진강 매화로(전남 광양시 다압면 도사리 494, 섬진강 100리 테마로드 종합(관광)안내소 앞)
배알도 수변공원   
전라남도 광양시 명당길 (태인동 1631-4 (무인), 1632-19 (유인))
동해안(강원) 통일전망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마차진리 188)
북천철교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송죽리 451-10
봉포해변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중앙로 646 (봉포리 40-30)
영금정   
강원도 속초시 영랑해안길 18 (동명동 1-3)
동호해변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동호리 206-3
지경공원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화상해안길 12 (지경리 1-24) 부근
경포해변   
강원도 가아릉시 안현동 89-47
정동진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569-2
망상해변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 393-99
추암촛대바위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 8-1
한재공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 산 30-11
임원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 산 399-22
동해안(경북) 울진은어다리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178-3
망양휴게소 
경상북도 울진군
월송정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423-21
고래불해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병곡리 196-13
해맞이공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팡포리 산 1-2
제주환상 용두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2동 용담2동 483 (유인)
다락쉼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471-3
해거름마을공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판포리 1608-4
송악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57-2
법환바당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 163-11 (맞은편)
쇠소깍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 995-4
표선해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44-4
성산일출봉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2-3
김녕성세기해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497-4
함덕서우봉해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산 14-53
무인 인증부스 이용방법

※ '국토 종주 인증제'시행 초기에는 인증 스탬프가 비치된 유인 인증센터가 주중 저녁과 주말에 문을 닫음에 따라 종주 인증을 할 수 없어 자전가 이용자의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국토 종주 자전거길 전 구간에 무인인증센터가 모두 설치되어 24시간 언제나 편안하게 자전거를 타며 종주한 기록을 인증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인증센터 1,000m 전방부터 3곳 내외에 안내 표지를 설치하였으며, 인증센터에도 확인이 용이하도록 통일된 다지인의 간판을 설치하였습니다.

 

2025.04.09 - [지역 둘레길 및 축제/국토종주 자전거길] - 대한민국 국토종주 자전거길 소개 및 코스 정보

 

대한민국 국토종주 자전거길 소개 및 코스 정보

국토종주 자전거길은 아름다운 우리 산과 강을 가까이서 만끽할 수 있는 길로 지역과 지역,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희망의 길입니다.https://www.bike.go.kr/map/roadMap.do?roadSn=1&roadType=1&xp=37.570595&y

hikingsong.tistory.com